-
6.IPC(Inter Process Communication)Computer Science/Operating System 2021. 8. 20. 00:31
∙IPC
∘독립적 구조를 가진 프로세스 간의 통신
-커널이 제공하는 IPC 설비를 이용해 프로세스간 통신한다.
➀익명 PIPE
-통신할 프로세스를 알 수 있는 경우에 사용
-두 개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데 하나는 데이터를 쓰기만 하고, 다른 하나는 읽기만 할 수 있다.
-한쪽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한 반이중 통신
-양쪽으로 모두 송/수신(전이중 통신) 하고 싶으면 2개의 파이프가 필요하다. 구현이 복잡하다.
-단순한 데이터 흐름을 가질 때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
➁Named PIPE
-전혀 모르는 상태의 프로세스들 사이 통신에 사용
-통신을 위해 이름있는 파일을 사용(Named)
-익명 PIPE와 같은 반이중 통신
➂Message Queue
-PIFE와 같은 데이터 흐름이 아닌 메모리 공간이다.
-사용할 데이터에 번호를 붙이면서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다.
-입출력 방식은 Named PIFE와 동일하다.
➃공유 메모리
-PIFE, 메시지 큐가 통신을 이용한 설비라면, 공유 메모리는 데이터 자체를 공유하도록
지원하는 설비이다.
-공유 메모리는 독립된 프로세스간 메모리 영역을 공유(접근)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.
-중개자 없이 곧바로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어 IPC중에 가장 빠르다.
➄메모리 맵
-열린 파일은 메모리에 맵핑시켜서 공유하는 방식이다.
-주로 파일로 대용량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때 사용한다.
➅소켓
-네트워크 소켓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한다.
-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소켓을 통해 통신하는 구조로, 원격에서 프로세스 간 데이터를 공유
할 때 사용한다.
∙세마포어와 뮤텍스
∘데이터를 동기화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출처
'Computer Science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데드락(Dead Lock) (0) 2021.08.22 7.CPU Scheduling (0) 2021.08.21 5.PCB(Process Control Block), Context Switcing (0) 2021.08.19 4.시스템 콜(System Call) (0) 2021.08.18 3.인터럽트(Interrupt) (0) 2021.08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