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8.데드락(Dead Lock)Computer Science/Operating System 2021. 8. 22. 21:47
∙데드락
∘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서로 무한히 기다리는 상황(교착 상태)
∙데드락 발생 조건
➀상호배제: 자원은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다.
➁점유대기: 최소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
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해야 한다.
➂비선점: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다.
➃순환 대기: 대기 프로세스의 집합이 순환 형태로 자원을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.
∙데드락 처리
➀예방
-교착 상태 발생 조건 중 하나를 제거하면서 해결한다.
-자원 낭비가 엄청 심하다.
➀상호배제 부정: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 사용
-동기화 관련 문제 발생 가능
➁점유대기 부정: 프로세스 실행 전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한꺼번에 요구
➂비선점 부정 :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선점
➃순환대기 부정: 자원에 고유번호 할당 후 순서대로 자원 요구
➁회피
-은행원 알고리즘
-미리 최대 자원 요구량을 알아야 한다.
-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할 때,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안정 상태로 남아있는지 사전 검사.
-안정 상태면 자원을 할당하고, 아니면 다른 프로세스들이 자원 해지할 때까지 대기
➂탐지와 회복
-교착 상태가 되도록 허용한 다음 회복하는 방법
➀탐지: 자원 할당 그래프를 통해 교착 상태 탐지
➁회복: 교착 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할당된 자원을 해제
종료: 교착 상태 프로세스 모두 중지/교착 상태 제거될 때까지 하나씩 중지
해제: 교착 상태 프로세스 점유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출처
'Computer Science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세마포어(Semaphore), 뮤텍스(Mutex) (0) 2021.08.24 9.경쟁 상태(Race Condition) (0) 2021.08.23 7.CPU Scheduling (0) 2021.08.21 6.IPC(Inter Process Communication) (0) 2021.08.20 5.PCB(Process Control Block), Context Switcing (0) 2021.08.19